인내력을 기르는 방법
우리가 이 세상을 살아가다 보면 다양한 장면에서 인내력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인내력은 우리가 어떤 일이나 문제를 해결하는데 열쇠가 되는 경우도 있다. 단 인내력이 결핍되면 좌절하게 되거나 문제나 어려움으로부터 도망치게 되고 결국 자신감을 잃어버리는 결말이 되기 십상이다. 그렇다면 인내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법들이 있는 것일까? 이 글에서는 인내력을 기르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자신이 인내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면 이 글을 끝까지 읽고 꼭 참고해 보길 바란다.
1. 무언가 하나를 달성해 내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작은 것이라고 하더라도 큰 것이라고 하더라도 상관없으니 우선은 하나의 것을 해내고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보는 방법이다. 무언가를 달성하려고 하면 거기에는 다양한 문제나 예상도 하지 못했던 것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이것을 해내어야만 한다고 정해둠으로써 문제에 맞서려고 하는 마음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견디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나 참아야만 하는 것이 증가하여 서서히 면역을 키우는 것이 목적이다. 동시에 복수의 것을 해내려고 하면 좀처럼 극복할 수 없어 인내력을 키울 수가 없다 우선은 하나씩 작은 것부터 시작해 보면 자신감이 붙게 될 것이다.
2. 문제의 앞 날이나 미래를 생각하는 버릇을 들인다.
무슨 일에 직면했을 때에 대부분의 사람은 그 눈앞의 것에만 급급한 나머지 훗날을 의식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러나 그것을 해결한 뒤에 무엇을 가지고 있는가나 어떻게 전진해야 하는지를 좀 더 구체적으로 생각하게 되는 것만으로도 인내력을 기를 수가 있다. 참지 않으면 안 되는 장면에서 아무래도 그 문제에 의식이 지나치게 가버려서 스트레스가 되거나 정신적으로 낙담하게 되거나 하는 등 무겁게 인식하게 되는 경우가 계속된다. 한 번 제삼자의 눈을 가지고 그 상황을 해결한 뒤에는 어떠한 앞날이 기다리고 있는 가를 상정해 보면 인내하기 쉬워진다. 앞이 보이지 않는 것에 의한 불안에 의해 좌절하거나 포기해 버리는 것은 의외로 자주 있는 일이다. 앞날을 상정하고 예상함으로써 오랫동안 지속되지 않을 것이나 지금은 인내해야 될 때라고 자신의 마음속에서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생하는 기간이나 힘이 든 기간이 정해짐으로써 그 기간만큼의 한정적인 것이 된다는 것을 안다면 참아 낼 수 있고 동시에 인내력을 기를 수가 있는 것이다.
3. 부정적인 발상을 피한다.
원래부터 부정적인 사람은 항상 나쁜 방향으로 생각해 버리기 때문에 발생하지도 않은 일에 한계를 느끼고 인내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인내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이 부정적인 발상을 피하는 것이 지름길이다. 나쁜 방향으로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더더욱 인내력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이다. 좋은 흐름을 상상하는 것이나 좋은 결과를 연상시킴으로써 여분의 인내를 스스로에게 만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부정적인 발상을 그만두는 것만으로도 인내력이 강화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4. 견디어 낼 수 있었던 자신을 칭찬할 것
인내력이 없는 사람은 동시에 다양한 것을 회피하거나 내팽개치거나 하는 것을 반복하기 때문에 자신감을 상실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계속되면 자신감이 없어지는 것만 아니라 이것이 버릇이나 습관이 되어버려 인내력 자체가 전혀 없어지는 경우도 있다. 사람은 보상을 받거나 인정을 받음으로써 자신감을 가지게 되는 동물이다. 이것을 인내력을 기르기 위해서 사용한다면 좋다는 이야기일 뿐이다. 무언가 하나를 클리어한다면 자신에게 보상을 주고 무언가를 잘 견디어 낼 수 있었다면 자신을 칭찬해 준다. 거기에 보상이나 칭찬을 받는다는 행위를 더해줌으로써 메리트를 느끼게 되고 조금씩 인내력이 높아지게 된다. 견딘다는 것의 의미를 모르는 사람이나 견디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은 이 방법으로 시험해 보면 참아낼 수 있을 것이다.
5. 인내력을 기를 수 있는 방법을 파악하도록 한다.
이글에서는 인내력을 기르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인내력을 기르기 위한 첫 번째 방법으로 무언가 하나를 달성해 내는 것을 목표로 삼도록 한다. 작은 일이나 큰 일에 상관없이 무언가 하나의 일을 끝까지 해내는 데 집중하도록 한다. 우여곡절 속에서 자신이 전혀 예상치 못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하나의 일을 달성하게 되면 자신의 인내력에 틀림없이 자신감이 붙게 될 것이다. 인내력을 기르기 위한 두 번째 방법으로 문제의 앞날이나 미래를 생각하는 버릇을 들인다. 눈앞의 문제에 급급하지 않고 보다 멀리 내다봄으로써 당장의 불안한 마음이나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고 자신이 세운 장래의 계획에 의해서 끝까지 참아낼 수 있는 원동력을 얻을 수 있어 인내력이 강해질 수 있다. 인내력을 기르기 위한 세 번째 방법으로 부정적인 발상을 하지 않도록 노력한다. 부정적인 발상은 그 자체만으로 사람을 지치고 한계를 느끼게 할 수 있어 실제로 필요한 이상의 인내력을 요구하게 된다. 좋은 흐름이나 결과를 연상하게 되면 불필요한 인내력을 축적할 수 있어 인내력의 강화로 이어진다. 인내력을 기르기 위한 네 번째 방법으로 참고 인내한 스스로를 칭찬한다. 사람은 보상과 칭찬을 받음으로써 자신감을 가지게 되는 생물이다. 이와 같이 보상과 칭찬을 적절히 사용하면 인내심을 키울 수 있는 인센티브로 작용할 수 있다.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다 보면 여러 장면에서 인내력은 필요하게 된다. 눈에 보이지 않는 인내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이와 같이 목표나 상상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인내력을 기르는 것은 대부분 메리트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꼭 인내력을 길러서 다양한 문제를 극복해 갈 수 있는 자신을 만들어 가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