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람

무기력하게 보이는 사람의 특징

by staunch 2025. 5. 21.
728x90
반응형
728x170

누구나 세상을 살아가다 보면 아주 가끔씩 의욕이 없고 아무것도 하지 않고 느긋하게 보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자신은 만족한다고 하더라도 곁에서 지켜보는 사람은 그다지 좋지 않은 기분이 드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자신은 평소대로 하고 있었을 뿐인데도 상대로부터 의욕이 전혀 없게 보인다라고 인식되는 경우도 자주 있는 이야기이다. 그러면 의욕이 없는 듯이 보이게 되는 것은 어떠한 것이 원인이 되는 것일까? 이글에서는 무기력하게 보이는 사람들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1. 멍하니 있는 시간이 많다.

무기력감하게 보이는 원인 중의 하나가 멍하니 있는 시간이 많다는 것이다.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고 멍하니 있으면 의욕이 없다거나 무기력하다는 마이너스의 방향으로 인식되기 십상이다. 스스로는 휴식을 취하고 있다거나 느긋하게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주변 사람들로부터는 무기력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특히 바쁠 때에 멍하니 있는 사람은 무기력하게 느껴지게 된다. 주변 사람들이 일하고 있는 와중에도 아무 일도 하지 않고 멍하니 있는 것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무기력하고 의욕이 없다고 인식되더라도 어쩔 수가 없다. 이와 같이 멍하니 있는 시간이 잦은 사람은 무기력감에 사로잡힌 사람으로 인식되기 쉬워서 그다지 좋은 인상을 줄 수 없다.

 

2.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있지 않다.

목표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은 무기력감을 주변에 풍기기 쉽다. 사람은 대개 무언가의 목표를 가지고 생활을 하고 있다. 학생이라면 성적이 뛰어나고 싶다든지 사회생활을 하는 사람이라면 수입을 올리고 싶다든지 등등 각자 다양한 목표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게 중에는 목표를 찾지 못해서 해야 될 일이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도 많이 있다. 막연하게 학교에 다니거나 매일 같은 입무를 반복하는 것에 의욕을 잃어버리거나 목표나 의의를 찾을 수 없게 되어 버린 것이다. 이와 같은 사람은 목표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나아가야 할 방향 자체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사물이나 일에 대해서 의욕을 느낄 수 없어 무기력감에 사로잡힌 인상을 주는 것이다. 그저 막연하게 생활을 보내고 있는 사람은 무기력감에 사로잡힌 사람으로 보일지도 모르기 때문에 주의하도록 한다.

 

3. 타인에게 무관심하다.

타인에게 무관심한 경우는 무기력감에 사로잡혀 있다고 인식되기 쉬워진다. 무기력감에도 다양한 것이 있는데 타인에게 관심이 없는 것도 그중 하나이다. 말을 걸어도 대충 대답을 하거나 못 들은 척 무시를 하거나 하면 무기력하다고 느껴지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타인에게 무관심해서 아무것도 하지 않음으로써 무기력감을 주위에 풍기는 경우는 자주 있는 법이다. 이와 같이 타인에게 무관심한 사람은 무기력감에 사로잡힌 사람으로 보이기 쉬워서 주변 사람들로부터 매사에 의욕이 없거나 흥미가 없는 사람으로 인식되게 된다. 

4. 즐거움을 느낄 수 없다.

즐거움을 느낄 수 없는 사람은 무기력감을 풍기기 쉽게 된다. 무기력하게 보이는 원인의 하나가 아무런 리액션도 없다는 것이다. 특히 즐거움을 표현하지 않는 사람은 표정을 알기 힘들어 아무것도 느끼고 있지 않은 건 아닐까라고 상대에게 인식되어 버리게 된다. 또한 무기력인 이유의 하나로 즐거움을 느낄 수 없다는 것도 들 수 있다. 당연한 일이겠지만 무기력한 사람은 무기력감을 주위에 풍기게 될 것이다. 무엇을 하더라도 즐겁다고 생각할 수 없거나 아무것도 느낄 수가 없는 사람은 우선 자신이 무기력한 상태라는 것을 받아들이도록 한다. 스스로 무기력을 개선함으로써 무기력감을 상대에게 느끼게 하지 않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5. 무기력하게 보이는 사람의 특징을 파악하도록 한다.

이글에서는 무기력하게 보이는 사람의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무기력하게 보이는 사람의 특징으로 첫 번째 멍하니 보내는 시간이 많다고 할 수 있다. 자신은 휴식을 취하거나 느긋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생각하더라도 주변 사람들의 눈에는 무기력한 사람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무기력하게 보이는 사람의 특징으로 두 번째 목표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사람은 제각각 무언가 자신만의 목표를 설정해서 그것을 이루기 위해서 노력한다. 하지만 뚜렷한 목표 의식 없이 막연하게 시간을 보내는 사람은 주변 사람들에게 무기력감에 사로잡힌 사람으로 보이는 것이다. 무기력하게 보이는 사람의 특징으로 세 번째 타인에게 무관심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다른 사람이 말을 걸어도 대충 대답하거나 못 들은 척하는 사람은 세상 일에 관심이나 흥미가 없는 사람으로 비치기 때문에 무기력감에 사로잡힌 사람으로 비치는 것이다. 무기력하게 보이는 사람의 네 번째 특징으로 즐거움을 느낄 수 없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즐거운 마음을 밖으로 드러내지 않거나 표정의 변화가 거의 없는 사람은 아무런 감정조차 느끼지 않는 사람으로 보여서 무기력한 사람이라는 인상을 주변 사람들에게 줄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특징들이 주위 사람들에게 무기력하게 보이는 사람에게 나타난다. 요약하자면 무기력감을 주변에 풍기는 원인으로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크다고 말할 수 있다. 표정이 변하지 않거나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 등의 언행은 무기력하다고 인식되게 될 것이다. 무기력하다고 생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쨌든 행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스로 목표를 찾아서 목표 달성을 향해서 행동함으로써 무기력감을 풍기는 일은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될 것이다.

 

 

 

 

 

 

 

 

 

 

그리드형

댓글